생활정보 제공합니다

2017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 알아보기

Event in 2017. 4. 11. 14:30

실업급여란 일정기간 동안 실직자의 생활안정을 위해서 지원해주는 지원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직장을 가져보신 분이라면 알고 계실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017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번 기회에 포스팅을 하게 됩니다.

 

 

 

 

 

 

 

2017년 실업급여 금액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을 알기 이전에 자신의 상황을 먼저 파악을 할 필요는 있습니다.

자신이 정말 재취업 의지가 있는지 우선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재취업 의사를 밝혀야 할 것입니다.

 퇴직일로부터 12개월이 지나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퇴직 직후에 바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업급여를 검색을 하면 '고용보험'사이트가 먼저 나오는데요. 우선 실업급여에 대한 설명을 한 뒤에 실업급여 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실업급여는 4가지로 분류가 됩니다. 구직급여, 연장급여, 상병급여, 취업촉진수당입니다.

급여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기준이 다르며, 그것을 우선 충족을 시켜야 합니다.

공통적인 구직급여 수급 요건은 이직일 이전을 기준으로 18개월간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근로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을 못했어야 합니다.

자격기준을 우선 확인을 해보고 자신이 해당이 되는지 알아보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런 다음에는 분류에 따라서 기준이 다릅니다.

적극적인 재취업이 전제로 되어있은 다음에는 이직사유가 자진퇴사인 경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 안내를 드리면 구직급여 지급액은 퇴직전 평균임금의 50%*소정급여일수입니다.

간단하죠? 상한액은 146,584원입니다.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90%*1일 소정근로시간입니다.

 

 

 

 

2017년 최저임금은 6,470원으로 책정이 되어있습니다.

계산을 하면 46천원 정도이며, 이것보다 많이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실업급여를 금액을 위해서 모의계산을 해볼 수도 있습니다.

 

 

연령과 근무시간을 넣어서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을 입력을 하면 알 수 있습니다.

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 실업급여 금액 알아보기로 책정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실업급여 금액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