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사고 이력조회 방법 초간단!
차를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도난차, 고장난차, 사사건건 문제가 있는 차 등 중요하게 여기셔야 합니다.
특히, 중고차를 구매할 때 말입니다.
그래서인지 자동차사고 이력조회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렴하다고 무조건 살 것이 아닌 하자가 없는 차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요건들을 따진 뒤에 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 자동차사고 이력조회 방법
포털사이트에서 ‘자동차 사고이력조회’라고 우선 검색을 하시길 바랍니다.
그러면 ‘카 히스토리’라고 나올 것입니다.
히스토리가 역사라는 뜻이니까 자신이 알고싶은 차에 대한 역사가 나오겠습니다.
보험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사이트이자, 차량 사고이력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접속 이후에 팝업이 우선 뜰 것입니다.
카히스토리 서비스는 손해보험사에서 보험사고가 발생 했을 때 신고되지 않거나
보험사고 처리가 안된 것에 대해서는 제공하고 있지 않지만, 이력이 있다면 표시가 됩니다.
수익자부담원칙을 적용해서 최소 실비만 이용자가 부담을 하게 해주고,
공익제고 차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실차 점검, 차주문 등을 통해 최종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사고이력조회’는 홈페이지에 들어가자마자
왼쪽에 빨간 박스로 표시된 부분에 차량번호를 입력을 해보면 됩니다.
차량번호를 통해 중고차의 현재부터 과거까지 보험사고이력정보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측의 ‘조회방법’을 누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1996년 이후 보험사고 자료 중심으로 사고이력을 제공합니다.
보험처리 하지 않은 부분은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자동차사고 이력 조회를 하게 되면, 정보이용료가 있는데요.
2,200원입니다. 최근 1년 내 5건 이하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2,200원이면 됩니다.
그 외에 ‘카히스토리’ 사이트에는 다른 서비스도 제공을 합니다.
‘무료침수전손조회’라는 메뉴에서 침수전손사고 조회가 가능합니다.
2011년 9월 이후부터 침수로 인해 자동차보험에서 차량담보로 보상접수된 부분을 조회 가능한 것입니다.
이렇게 자동차사고 이력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알아야 하는 이유는 더 안전한 자동차를 구입하기 위해서입니다.
중고차를 가격만 보고 사는 것은 위험성이 엄청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