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임금체불 신고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노동부 임금체불 신고 방법에 대해서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일을 하다보면 부당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때 그래도 우리 편이 되어줄 기관은 노동부입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불합리한 일들이 일어나는데요. 열정페이 현상에 임금체불이 겹쳐졌을 때 어떻게 하는지
그 권리를 주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 노동부 임금체불 신고 방법 알아보기
임금체불 신고를 당한 고용주들은 자신들이 제대로 월급을 줬다고
하지만, 실제로 주휴수당, 월차, 연차와 같은 근로수당을 주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시간 있을 때 야근하라고 하면서 실제 챙겨줘야 할 급여를 주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고용노동법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은 이에 대해 항의하지 않습니다.
즉, 아르바이트를 포함해서 모든 근로자들에게는 임금체불을 해서는 안되며,
노동자들은 임금체불 신고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고용노동부’사이트를 들어가서 해결을 해야합니다.
민원접수, 참여마당, 알림마당, 정보 공개와 같은 서비스가 제공이 되며,
메인화면에서 ‘민원마당’을 클릭을 합니다. 클릭을 하고 나서 하위에서‘ 온라인 민원신청’을 클릭을 합니다.
그렇게 하면, 임금체불 뿐이 아닌 다양한 민원을 처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사안에서 우선 이번 포스팅은 ‘임금체불 진정서’를 클릭을 해야합니다.
민원 이후 25일정도 소요될 수있습니다. 우선, 로그인을 하는 것이 편합니다.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홈페이지에 들어올 때마다 비회원 로그인을 하는 것은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고나서 노동부 임금체불 신고 방법은 ‘임금체불 진성서’에 등록인 정보를 먼저 기입을 하고,
진정 내용에는 입사, 퇴사, 체불금액 등 정확하게 입력을 해야합니다.
그렇게 되면 고용노동부에서 민원 처리를 하는데 조금 더 수월하게 진행이 됩니다.
그리고 나서 파일첨부를 해야할 것이 있다면 해야되는데요.
자신의 근로 사실 확인 서류, 통장 내역 등 임금체불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로써 노동부 임금체불 신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다소 어려워보일 수 있지만, 포스팅 내용을 쭉 따라가면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생활정보 제공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법 알아보기 (0) | 2017.05.02 |
---|---|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17.05.02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17.05.01 |
B형 독감 증상 간단하게! (0) | 2017.04.30 |
2017 마이너스통장 발급대상 조건 한눈에 보기! (0) | 2017.04.21 |